엽록소 c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엽록소 c는 마그네슘과 배위 결합을 하는 포르피린 고리 구조를 가지는 엽록소의 한 종류이다. 엽록소 c에는 엽록소 c1, 엽록소 c2, 엽록소 c3의 세 가지 형태가 알려져 있다. 엽록소 c1은 8번 탄소 위치에서 비닐기 대신 에틸기를 가지며, 엽록소 c2는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 엽록소 c3는 미세조류인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에서 발견되었으며, 엽록소 c의 합성은 다이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에서 분기되어 진행된다.
'''엽록소 ''c''1'''(chlorophyll ''c''1''영어)은 엽록소 ''c''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엽록소 ''c''1는 8번 탄소(C8) 위치에서 비닐기(C=C 이중 결합) 대신에 에틸기(C-C 단일 결합)를 갖는다는 점에서 엽록소 ''c''2와 다르다.[6] 최대 흡수 파장은 다이에틸 에테르에서 약 444, 577, 626 nm, 아세톤에서 약 447, 579, 629 nm이다.[6]
엽록소 ''c''는 마그네슘과 배위 결합을 하고 있는 포르피린 고리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엽록소 ''c''1, 엽록소 ''c''2, 엽록소 ''c''3의 세 종류가 알려져 있다.
엽록소 ''c''의 합성은 다이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DV-PChlide)가 형성된 후 전형적인 클로로필라이드 합성 경로에서 초기에 분기된다.[18][8] 다이비닐프로토클로로필라이드는 171 산화효소에 의해 엽록소 ''c2''로 직접 처리될 수 있다.[18] 171 산화는 "171 위치에 있는 17-프로피오네이트 잔기의 하이드록실화 및 17-아크릴레이트 잔기로의 연속적인 탈수"에 의해 진행되는 것으로 보인다.[19][8][9] 8-비닐 환원효소(페레독신 유형 다이비닐 클로로필라이드 ''a'' 8-비닐 환원효소의 무차별적인 행동을 자세히 설명)는 엽록소 ''c''2를 엽록소 ''c1''으로 전환할 수 있다.[18][10] 두 단계를 바꿔도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18][10]
[1]
웹사이트
Photosynthetic Pigments
http://www.ucmp.berk[...]
2014-08-02
2. 종류
엽록소 ''c''2(chlorophyll ''c''2영어)는 엽록소 ''c''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7] 흡수 최대값은 다이에틸 에터에서 약 447, 580, 627 nm, 아세톤에서 약 450, 581, 629 nm이다.[6]
'''엽록소 ''c''3'''(chlorophyll ''c''3''영어)는 미세조류인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Emiliania huxleyi'')에서 1989년에 발견이 확인된 엽록소 c의 한 형태이다.[4] 엽록소 ''c''3의 흡수 최대값은 다이에틸 에터에서 약 452, 585, 625 nm, 아세톤에서 452, 585, 627 nm이다.[6]
2. 1. 엽록소 ''c''1
'''엽록소 ''c''1'''(chlorophyll ''c''1''영어)은 엽록소 ''c''의 일반적인 형태이다. 엽록소 ''c''1는 8번 탄소(C8) 위치에서 비닐기(C=C 이중 결합) 대신에 에틸기(C-C 단일 결합)를 갖는다는 점에서 엽록소 ''c''2와 다르다.[16] 최대 흡수 파장은 다이에틸 에테르에서 약 444, 577, 626 nm, 아세톤에서 약 447, 579, 629 nm이다.[16][6]
2. 2. 엽록소 ''c''2
엽록소 ''c''2(chlorophyll ''c''2영어)는 엽록소 ''c''의 가장 일반적인 형태이다.[17][7] 흡수 최대값은 다이에틸 에터에서 약 447, 580, 627 nm, 아세톤에서 약 450, 581, 629 nm이다.[16][6]
2. 3. 엽록소 ''c''3
'''엽록소 ''c''3'''(chlorophyll ''c''3''영어)는 미세조류인 에밀리아니아 훅슬레이이(''Emiliania huxleyi'')에서 1989년에 발견이 확인된 엽록소 c의 한 형태이다.[14] 엽록소 ''c''3의 흡수 최대값은 다이에틸 에터에서 약 452, 585, 625 nm, 아세톤에서 452, 585, 627 nm이다.[16]
3. 구조
엽록소 c1 엽록소 c2 엽록소 c3
4. 생합성
참조
[2]
논문
The structure,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chlorophyll c
1970-05
[3]
서적
Molecular Mechanisms of Photosynthesis
Wiley-Blackwell
2002-02
[4]
논문
The structure of chlorophyll c3, a novel marine photosynthetic pigment
1989
[5]
논문
Chlorophyll c Pigments: Current Status
[6]
논문
A new form of chlorophyll C involved in light-harvesting
1989-10
[7]
논문
The Occurrence of Chlorophyll c1 and c2 in Algae
1976-09
[8]
논문
A chlorophyll c synthase widely co-opted by phytoplankton
https://www.science.[...]
2023-10-06
[9]
논문
Synthesis of chlorophyll-c derivatives by modifying natural chlorophyll-a.
2016-03
[10]
논문
Evolution of a New Chlorophyll Metabolic Pathway Driven by the Dynamic Changes in Enzyme Promiscuous Activity
2014-03
[11]
웹인용
Photosynthetic Pigments
http://www.ucmp.berk[...]
2014-08-02
[12]
저널
The structure, properties, and distribution of chlorophyll c
1970-05
[13]
서적
Molecular Mechanisms of Photosynthesis
https://archive.org/[...]
Wiley-Blackwell
2002-02
[14]
저널
The structure of chlorophyll c3, a novel marine photosynthetic pigment
1989
[15]
저널
Chlorophyll c Pigments: Current Status
[16]
저널
A new form of chlorophyll C involved in light-harvesting
https://archive.org/[...]
1989-10
[17]
저널
The Occurrence of Chlorophyll c1 and c2 in Algae
1976-09
[18]
저널
Evolution of a New Chlorophyll Metabolic Pathway Driven by the Dynamic Changes in Enzyme Promiscuous Activity
2014-03
[19]
저널
Synthesis of chlorophyll-c derivatives by modifying natural chlorophyll-a.
2016-0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